경제뉴스

[경제뉴스_25.04.07] 미국 증시, 이틀 새 시총 9600조원 증발 / D램 가격 상승 / 비트코인 8만 달러선 붕괴

freesom 2025. 4. 7. 08:0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리솜입니다-!

 

월요일 아침이 시작됐는데요.

다들 출근길 어떠신가요..

저도 오랜만에 출근(?)을 하게 됐는데

벌써부터 잠이 쏟아진답니다. 

 

그래도,, 벌어야 ! 맛난 것도 사 먹고 ! 커피도 사 마시니까요 -!

오늘도 힘내시길 바라며 주요 경제 뉴스, 간단히 정리해 왔어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미국 증시, 이틀 새 시총 9600조원 증발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트럼프의 관세 전쟁 선포 후, 지난 3~4일 이틀간 미국 주식 시장 시가총액이 6조 6,000억달러(약 9,600조원) 줄었어요.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이틀간 10%가량 빠졌는데요. 다우 -9.3%, 나스닥 -11.4%, S&P500 -10.5%였죠. 특히 S&P500의 4일 낙폭은 -6%로 2000년 4월 닷컴 버블(-5.8%)때보다도 커요. 이 같은 폭락에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 전쟁은 경제 혁명이라며 버텨내라는 입장을 보였어요. 

 

📈D램 가격 한달 새 13% 상승

 

한국의 주력 상품인 메모리 반도체 D램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요. 시장조사 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범용 D램인 DDR4 8기가비트 2666의 현물 가 격은 지난 3일 기준 1.951달러로 지난달 대비 13.3% 올랐어요. 인공지능 서버와 고성능 컴퓨터에 들어가는 DDR5의 가격도 지난 2월부터 2개월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죠.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메모리 가격 상승엔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요. 중국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노후 소비재를 신제품으로 교체하도록 한 정책이죠. 이 때문에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수요가 늘면서 이 제품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었어요.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이미 D램 가격 인상에 나섰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이에요. 

 

🪙비트코인 8만 달러선 붕괴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 후, 비트코인이 대폭 하락했어요.지난 6일(현지시간)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1개는 전날보다 4.10% 내린 7만 9548달러를 기록했어요. 비트코인은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다음날인 지난 3일부터 계속 약세를 보이더니 8만달러선 아래로 내렸는데요. 관세 철회 가능성도 없는 상황이라 불확실성은 점점 더 커지는 모양이에요.  

 

*참고기사

‘트럼프 관세’ 증시 쇼크, 9·11 테러보다 컸다

D램 값 한달새 13% 상승… 메모리 반도체 부활 조짐

'트럼프 관세' 비트코인까지 흔들었다…8만달러선 붕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