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솜입니다:)
금요일인 오늘은 여러 일로 바쁜 날이 될 것 같은데요.
좀 전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가 있었죠.
바쁘고 정신없는 중에도 읽어보면 좋을 경제 뉴스를 정리해 왔어요.
가볍게 읽어주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미국, 한국에 26% 관세 부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26%로 높이는 상호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했어요. 오는 5일부터 대부분의 수출품에 10%의 관세가 적용되고 9일부턴 16%p(포인트) 추가될 예정이에요. 다만, 기존에 부과했던 철강, 차 업종에 대해선 추가로 부과되지 않아요.

트럼프는 한국의 대미 관세는 50% 수준이지만 미국은 관대하게 절반 정도만 매긴다고 주장했는데요. 다만 트럼프의 이런 계산이 WTO의 기준과 다르다는 지적이 많아요.
아울러, 이번 관세 부과는 미국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에요. 미국 내 수입품 물가를 올리며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죠.
안전자산 엔화, 금 수요 늘어
미국의 관세 폭격에 안전자산에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렸어요. 지난3일 금, 채권, 일본 엔화 등의 가격이 급등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 후, 금 현물 가격은 1.2% 급등해 온스(31.1g)당 3,165달러를 기록했어요. 사상 최고치예요. 국제 금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19%가량 올랐는데요.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에서 3,300달러로 상향 조정했어요.

엔화도 수요가 쏠리며 가격이 올랐어요. 엔화는 일본의 막대한 대외 순자산, 낮은 인플레이션등으로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데요. 지난 3일 원·엔 환율이 100엔당 998원까지 오르며 1,000원대 직전까지 오르기도 했어요. 4일 오전에도 상호관세에 대한 우려로 엔화 매수가 늘면서 1달러에 146엔대로 상승 출발했어요.
공정위, 스드메 표준계약서 제정
공정거래위원회가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 대행업 표준계약서를 제정, 발표했어요. 앞으로 결혼 업체는 예비 신혼부부와 계약 시 주요 서비스의 내용을 명확히 알려줘야 하는데요.

표준 계약서에는 스드메 등 기본서비스와 드레스 피팅비, 사진 파일 구입비 등 추가 옵션으로 분류돼 비용 부담이 컸던 항목을 넣었어요. 아울러 소비자가 요청할 경우 구체적으로 설명해줘야 해요.
계약 해지와 관련해서도 귀책 사유가 업체와 이용자 중 누구에게 있는지, 대행 서비스 개시 여부 등에 따라 환급 및 위약금 수준을 다르게 했어요.
*참고기사
표준계약서 제정, ‘깜깜이 스드메’ 막는다
트럼프 “한국은 최악 국가”... 관세 26% 부과
안전자산 수요 몰려 금·엔화 가격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