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경제뉴스_25.04.01] 공매도 재개 첫날, 이차전지주 폭락 /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 국세청, 원클릭 종소세 환급 서비스 개통

freesom 2025. 4. 1. 09:5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리솜입니다:)

 

꽃피는 4월이 되었네요. 

다들 올해 벚꽃 나들이 계획은 세우셨나요?

 

저는 올해는 바쁜 일이 많아 동네에서 보는 꽃으로 만족해야 할 것 같아요.

그래도 봄은 언제나 사람을 설레게 하니까요-!

 

설렘 가득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가볍게 경제 뉴스 정리해 드릴게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 📉공매도 재개 첫날, 이차전지주 폭락

어제(3월 31일)부터 공매도가 전면 재개됐는데요. 공매도 재개 첫날 집중 타깃은 이차전지 관련 주식이었어요.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첫날, 거래 금액은 1조7,284억원이었는데요. 이중 외국인이 1조5,434억원으로 약 90%를 차지했죠.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공매도 재개 전, 증권가에선 이차전지주의 대차잔고가 늘어 공매도의 타깃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요.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대차 잔고 금액 상위 10개 중 5개가 이차전지 관련 주식이었다고 해요. 이후 지난 31일 LG에너지솔루션 6%가량 급락했고 에코프로 12.6%, 엘앤에프 7.6%, 포스코퓨처엠 6.45% 등 각각 하락했어요. 

 

  •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명품 온라인 쇼핑 플랫폼 '발란'이 결국 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어요. 지난 24일 판매자들에게 정산대금을 주지 못한 지 일주일 만이죠. 발란은 법원의 회생절차 인가 전 회사를 매각, 정상화에 나선다는 계획인데요. 다만, 시장에선 이미 시기를 놓쳤다는 평가가 나와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발란 외에도 비슷한 명품 플랫폼 대부분이 자금난을 겪고 있다는데요. 이 때문에 티메프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도 커졌다는 분석이에요. 명품 플랫폼들은 코로나19 유행 후 명품 소비가 늘면서 급성장했는데요. 최저가 할인 경쟁, 가품 논란, 명품 소비 감소 등이 겹치며 2023년 이후 부진했다고 해요. 

 

  • 📲국세청, 원클릭 종소세 환급 서비스 개통

국세청이 간편하게 종합소득세를 환급받을 수 있는 원클릭 서비스를 개통했어요. 환급액의 10~20%의 수수료를 받는 삼쩜삼 대신 정부가 무료로 환급서비스 제공에 나선 건데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배달 라이더, 대리기사, 프리랜서 등 종합소득세 대상 수입이 있는 직장인 가운데 종소세 신고를 놓친 납세자가 대상이에요. 국세청 홈택스 접속 후, 원클릭 환급 신고를 누르고 로그인하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총 5년 치 환급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참고기사 

발란도 결국 기업회생 신청…벼랑 끝 명품 플랫폼 | 한국경제

공매도 재개 첫날… 이차전지주 파랗게 질렸다

‘유료’ 삼쩜삼 대신 무료로 종소세 환급 국세청 ‘원클릭’ 개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