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꿀팁

청약 통장 납입금액 25만원 넣을까? 말까? / 청약 납입횟수, 금액 총정리

freesom 2025. 4. 12. 18:4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리솜입니다:)

혹시 청약통장 납입금액 고민 중이신 분들 계시나요?
10만원이냐, 25만원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청약 목표에 따라 꼭 납입금액 25만원을 최대로 채울 필요는 없는데요. 청약 기준에 따른 납입횟수, 금액 등을 정리해 드릴게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그래픽: 솜테크



청약통장의 정의와 종류

 

청약통장은 아파트 분양 청약 자격을 얻기 위해 가입하는 통장을 의미해요. 청약통장의 종류에는 기존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있어요. 

 

청약저축은 국민주택 분양 또는 임대에 활용되고 청약예금은 민영주택, 청약부금은 민영주택 중 전용면적 85㎡ 이하만 가능해요. 청년 우대형 통장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바뀌었죠. 2024년 출시 됐으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무주택 청년들에게 최대 4.5%의 금리를 제공해요.  

주택별 청약통장 납입 기준

 

작년 10월부터 청약통장 납입한도가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늘었는데요. 때문에 25만원을 채워 넣어야하나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하지만 무작정 최대한도를 넣기보다 본인에게 맞는 청약 계획을 세우는 게 좋아요.

 

우선 공공주택과 민영주택 중 어떤 곳을 목표로 할지 정해야 해요.  공공주택은 납입횟수와 금액 모두 중요하고 민영주택은 지역별, 규모별 예치금 충족 여부에 따라 순위가 다르게 책정되기 때문이죠. 

 

국민주택 청약조건

출처: 청약홈

 

국민주택(공공분양)경우, 투기과열지구 기준 청약통장 가입기간 2년 이상, 납입횟수 24회 이상을 채우면 돼요. 

단, 청약자가 만 19세 이상이어야 하며 무주택자여야 하죠. 

1순위 내 경쟁 시엔 3년 이상 무주택 상태인 세대 구성원 중 저축총액 또는 납입횟수가 많은 사람을 선정해요. 공공분양 청약이 목표라면  납입금액이 많을수록 좋겠죠?

 

다만, 오랜 기간 공공분양 당첨을 위해 청약을 부어온 게 아니라면 25만원을 넣을 필요성을 고민해보는 게 좋아요.  작년 청약을 진행한 서울 수방사 공공분약주택 일반공급 당첨 금액은 2770만원 수준으로 23년 이상 10만원(최대금액)씩 납입한 셈이죠. 지금부터 시작하기엔 진입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어요. 

 

특히 신혼부부, 다자녀 특별 공급의 경우, 통장 납입액이 낮아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청약을 노리고 있다면 꼭 25만원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해요. 

 

민영주택 청약조건 

출처: 청약홈
출처: 청약홈


민영주택의 경우, 청약 가입 기간 기준은 국민주택과 동일하지만 납입횟수 기준은 없어요. 단, 지역별 예치금액 조건이 있어 거주 지역의 예치금액 기준을 확인해야 해요. 모든 면적 기준 서울과 부산은 1500만원, 기타 광역시 1000만원, 기타 시/군 500만원이죠. 

 

민영주택은 가점제와 추첨제로 나뉘는데요. 가점제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요. 따라서 가입기간이 짧은 2030 세대에겐 메리트가 적을 수 있죠.

 

추첨제를 노릴 계획이라면 25만원 납입을 고집할 필요는 없어요. 예치금 기준만 충족하면 청약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에요. 

 

결론

1. 25만원이 부담되지 않으며 청약으로 내 집 마련이 목표라면 25만원을 납입하는 게 좋아요. 청약 선택지를 넓혀주기 때문이죠.

 

2. 25만원이라는 금액이 부담된다면, 10만원씩만 납입해도 민영주택 청약은 노려볼 수 있어요. 

 

청약 아닌 매매로 내 집 마련 목표라면?

 

청약이 아닌 기존 주택을 매매할 계획이 확고하다면, 꼭 청약통장을 만들 필요는 없는데요. 다만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이 가능하다면 높은 이율의 혜택을 볼 수 있으니 목돈 마련 목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